두 작가를 비교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가구(2011)는 1920 년대를 대표하는 한국시인 김소월과 중국시인 서지마의 시에 대하여 구 체적으로 분석하였고 한국
두 작가를 비교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가구(2011)는 1920 년대를 대표하는 한국시인 김소월과 중국시인 서지마의 시에 대하여 구 체적으로 분석하였고 한국과 중국의 근대시인 김소월과 서지마의 시적 낭만주의 상상력을 비교 연구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진함(2012)은 1920 년대를 대표하는 한국과 중국의 시인 김소월과 서지마의 서정시를 비 교분석하였고 한국은 3·1 운동을 계기로 중국은 5·4 운동을 계기로 각각 근대문학이 본격적으 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두 나라는 모두 서구문화를 다양한 측면에서 수용하여 그 영향을 받은 김소월과 서지마의 서정시는 충분한 비교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왕해륜(1975)는 한국의 대표적인 서정시인인 김소월과 중국의 서정시인 서지마의 시를 비 교 연구하였다. 그는 비교 시인론이라는 관점에서 시인의 이해는 물론 후속 연구자들에게 연구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도 제공한다.
한국에는 김소월의 시를 단독으로 연구한 논문은 많지만 김소월과 서지마의 애정시를 비
교하고 연구한 논문은 아직 미흡한 편이고 중국에도 서지마에 관한 눈문은 많으나 김소월 과 서지마의 애정시를 비교한 논문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