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鲜语论文中韩设计师品牌女装设计特征对比研究(2)

1.2 연구 대상과 연구 내용 현재까지 학계에서 실시된 중한 양국의 패션 특징과 그를 분석한 연구들은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는데, 먼저 한국 혹


1.2 연구  대상과  연구 내용

현재까지 학계에서 실시된 중한 양국의 패션 특징과 그를 분석한 연구들은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는데, 먼저 한국 혹은 중국의 패션 디자인의 특징을 일국적인  시각에서 다른 연구들을 언급하자면, 이초는 중국 퍼스트레이디 펑리위안이 정치적인 장소에 참가하 였을 때 착용했던 복장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중국의 퍼스트레이디의 패션 이미지와 대표적 디자인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 여성복에 적용된 패션 트렌드의 현재와 미래를 예측 함으로써 중국 시장을 겨냥한 한국 패션 산업의 중국 시장 진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였

다(.  이초,2016) 한결의 연구는 중국에서 1980 년대 이후에 태어난 여성들, 즉 ‘ 80 후 ’ 세

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현대 중국 사회에서 ‘ 80 후 ’ 세대가 어떠한 문화적 특성을 띠며 어 떤 패션 스타일을 선호하는지를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 80 후 ’ 세대가 급변하는 중국 패션 의 주체가 되어 왔음을 밝혀냈다.(한결,2012) 이러한 연구들은 중국 혹은 한국의 패션 특성 에 대한 연구를 다루므로 본 논문의 연구에 좋은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일국적 시 각에 한정되어 중한 양국 패션 디자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지 못한

아쉬움을 안겨주었다.

위의 연구 외에도 본 논문의 연구 주제와 유사한 비교 연구들도 존재한다. 예컨대, 양수 진은 중한 양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중저가 패션 브랜드를 소비하는 양국 소비자의 소비 행위와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하였다.(양수진,2017) 박희정의 연구에서는 전통 복 식의 특성을 활용하여 세계 패션쇼의 무대에서 동양풍 스타일 정립에 성공한 중국과 일본 의상 디자인의 활용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한국 스타일 정립에 있어 전통 복식의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박희정,2011)

이처럼 일국적인 시각에 국한된 중국 혹은 한국의 패션 특성에 대한 연구들은 비록 본 연 구에 좋은 참고 자료를 제공해 주었으나, 중한 양국 패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드러 내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이에 비해 일국적 시각을 타파하여 비교 연구를  한 일련의  연구 들은 한국과 중국의 패션에 대한 비교 연구를 했지만 아직까지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대상에 대한 분석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국과 한국 디자이너 브랜드 가운데 각각 3 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으며, 그에 적합한 대상으로 < FASHIONNOW 2017 년도 의 봄여름 시리즈 패션 발표회 > 에 참가한 RICOSTRU,  CHICTOPIA,  EVENING 등 중 국 디자이너 브랜드와 JAIN SONG, FAYEWOO, PUSH BUTTON 등 한국 디자이너 브랜 드를 선정하였다. 이상의 여섯 브랜드를 선택한 까닭은 이 브랜드들이 중국과 한국에서 인 기가 많고 인지도가 높은 대표적인 디자이너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연구 진행 시에는 비교 연구의 방법을 채택하여 중한 양국 디자이너 브랜드 여성복의 디자인적 특성을 살펴볼 것이 다. 논의하는 과정 중에 중국쪽 여성복 사진 95 장과 한국쪽 여성복 사진 97 장을 이용하게 될 것이다.

또 연구를 보다 면밀히 수행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로 색상, 문양, 실루엣, 디테일 등 네 측면에서 여섯 디자이너 브랜드 여성복의 특성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 중한 양국 디자이너 브랜드 여성복의 디자인적 특징과 그 장단점을 총괄하고 중국 디자이너 브랜드가 한국 디자이너 브랜드로부터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를 논의해 볼 것이다.